본문 바로가기

공부/컴퓨터

케라스 창시자에게 배우는 딥러닝 - 프랑소와숄레, 박해선, 길벗

반응형

읽기전

  • 인공지능으로 간단하게 만들어 본게 있는데, Keras(케라스)를 이용해서 만들었다.
  • 여러곳을 참고해 보니, 아예 연구자가 아닌 이상 케라스를 이용하면 왠만한건 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보았다.
  • 물론 간단하게 만들어 본 것 역시 케라스를 이용해서 만들었다.
  • 그래서 케라스 자체를 좀 더 알아 보는게 좋을 것이 생각해서 구매한 책.

기타

  • 보통 책과 관련없는 내용은 아랫쪽에 따로 두기도 하는데..
  • 책 자체에 역자가 많은 주석을 달아 두었다. 그래서 책을 읽기가 좋다.
  • 대부분의 이론들이나, 전망은 걍 생략했다. 이 글을 읽는 사람이 있다면, 자세한 내용은 책을 구매해서 읽으시길...
  • 초급용 책을 뗐다면, 이 책을 읽어 보는것을 추천한다. 참고로 초급용 책은 "모두의 딥러닝"을 추천한다.

책읽기

1부 딥러닝의 기초

  • 이론적인 내용 생략

1장 딥러닝이란 무엇인가?

  • 이론적인 내용 생략

인공지능과 머신 러닝, 딥러닝

  • 인공지능 : 보통의 사람이 수행하는 지능적인 작업을 자동화 하기 위한 연구 활동
  • 머신러닝 시스템은 명시적으로 프로그램 되는 것이 아니라 훈련(training)
  • 데이터 포인트 라는 말이 나오는데, 인공지능 학습에 사용되는 데이터들을 데이터 포인트 라는 용어로 잘 사용하더라. ( 직전에 읽은, 피처 엔지니어링 책에서도 데이터 포인트 라는 용어를 사용했던것 같다. )
  • 표현(representation) :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핵심 문제ㄴ,ㄴ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대 출력에 가깝게 만드는 유용한 표현을 학습하는것.
    • 핵심은 데이터를 인코딩하거나 묘사하기 위해 데이터를 바라보는 방법
    • 이미지가 RGB 혹은 HSV로 바뀌는것도 표현이 바뀌는것
    • 2차원 데이터 포인트들에서, 좌표를 변환하는것.
    • 시스템적으로 데이터 포인트를 잘 구분할 수 있도록, "학습"시킬 수 있다.
    • 이 과정중 일부는 기계가 "학습"하기 쉽게, 사람이 먼저 "피처 엔지니어링"을 해야 할 수도 있겠다.
  • 뉴럴넷은 뇌구조를 이해하는것에 영감을 만들어 진 것이다. 진짜 사람의 뇌가 그렇게 동작한다는 근거는 없다.

딥러닝 이전: 머신 러닝의 간략한 역사

  • 확률적 모델링
    • 통계학 이론을 데이터 분석에 응용
    • 나이브 베이즈 알고리즘
      • 입력 데이터의 특성이 모두 독립적이다고 가정
      • 고전적인 방법이라, 컴퓨터 등장전에는 수작업으로 적용
    • 로지스틱 회귀
      • 회귀 알고리즘이 아니라, 분류 알고리즘
  • 초창기 신경망

왜 딥러닝일까? 왜 지금일까?

  • 20년 후에도 심층 신경망을 사용하고 있을까요? ... 지금부터 20년 후에는 신경망을 사용하지 않을지도 모르지만, 딥러닝과 딥러닝의 핵심 개념에서 직접 파생된 무엇인가를 사용할 것입니다.

2장 시작하기 전에: 신경망의 수학적 구성 요소

  • 내용 생략

신경망과의 첫 만남

  • 내용 생략

신경망을 위한 데이터 표현

  • 내용 생략

신경망의 톱니바퀴: 텐서 연산

  • 내용 생략

신경망의 엔진: 그랜디언트 기반 최적화

  • 내용 생략

첫 번째 예제 다시 살펴보기

  • 내용 생략

요약

  • 내용 생략

3장 신경망 시작하기

  • 내용 생략

신경망의 구조

  • 내용 생략

케라스 소개

  • 케라스는 MIT 라이선스를 따르므로 상벚거인 프로젝트에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최근 딥러닝 프레임워크의 순위는 텐서플로우, 케라스 파이토치 순임.
  • 케라스는 고수준 구성 요소를 제공. 백엔드로는 텐서플로우, 씨아노, CNTK 3개의 엔진을 골라서 사용할 수 있음.
  • 케라스로 모델을 만드는 법
    • Sequential 클래스를 이용해서 순차적으로 쌓아 올리는 방법
    • 함수형 API를 사용해서, 임의의 구조를 만들 수 있는 방법

딥러닝 컴퓨터 셋팅

  • 내용 생략

영화 리뷰 분류: 이진 분류 예제

  • 내용 생략

뉴스 기사 분류: 다중 분류 문제

  • one hot encoding되어 있는 데이터라면 loss에 categorical_crossentropy를 사용하면 되고, 그렇지 않고 숫자로 라벨링 되어 있는 경우라면, loss에 sparse_categorical_crossentropy를 사용하면 된다. 굳이 바꿀 필요 없음.
  • 충분히 큰 중간층을 두어야 하는 이유
    • 마지막 출력이 46차원이기 때문에 중간에 히든 유닛이 46개 보다는 많이 적어서는 안된다. 책에서는 중간에 4차원을 두었는데, 이렇게 두어도 아예 안 되진 않지만, 4차원으로는 정보를 충분히 표현할 수 없어 79%에서 71%로 8% 정도 정확도가 감소한다.
    • 4차원에 대부분의 정보를 넣었겠지만, 그래도 다 넣지는 못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.

주택 가격 예측: 회귀 문제

  • 데이터의 피쳐가 여러 범위를 가지고 있다. 이때는 데이터를 균일한 범위로 맞춰 주는것이 중요하다. 안되지는 않겠지만, 피쳐의 중요도를 떠나, 그냥 숫자가 클 경우 곱셈을 하게 되면 큰 변화량을 가지게 될 것이다. ( 피쳐엔지니어링 책 참고 )

  • 데이터를 정규화하는 방법

    • 피처의 평균을 빼고, 표준편차로 나누는 방식

    • 피처의 중앙이 0 근처에 맞추어지고, 표준편차가 1이 된다.

      mean = train_data.mean(axis=0)
      train_data = train_data - mean
      std = train_data.std(axis=0)
      train_data = train_data/std
      
      test_data = test_data - mean
      test_data = test_data/std
  • 일반적으로 훈련 데이터의 개수가 적을수록 과대적합(오버피팅)이 더 쉽게 일어나므로 작은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과대적합을 피하는 한 방법입니다.

  • 모델의 마지막은 1개의 유닛을 가지고 있고, 활성화 함수가 없음. 전형적인 스칼라 회귀(하나의 연속적인 값을 예측하는 회귀)를 위한 구성.

  • loss = mse : 평균 제곱 오차. 회귀 문제에서 널리 사용되는 손실 함수.

  • metrics = mae: 평균 절대 오차. 예측과 타깃 사이의 거리 절대값. 0.5면 평균적으로 500달러 차이 난다는것.( 1 = $1000 기준 )

  • 데이터량이 너무 작으면, validation set도 아까우니깐, k-겹 검증 적용

    • K-fold cross-validation : 데이터를 4덩이로 나눈다면
    • 0, 1, 2 는 학습용으로, 3은 검증용으로
    • 0, 1, 3 은 학습용으로, 2는 검증용으로
    • 0, 2, 3 은 학습용으로, 1은 검증용으로
    • 1, 2, 3 은 학습용으로, 0은 검증용으로
    • 모두 loop를 돌고 나면 각 검증용으로 사용했던 0, 1, 2, 3 의 결과를 평균내서 검증의 최종 값으로 사용.
    • 중요한건, 각 학습을 할 때 validation set의 데이터를 참고하지 않았다는 점이다.*
    • 하지만, 코드를 따로 짜야하는 불편함이... 그냥 데이터를 많이 만들어 두고 쓰자. ㅎ.

요약

  • 내용 생략

4장 머신 러닝의 기본 요소

머신 러닝의 네 가지 분류

머신 러닝 모델 평가

  • 반복 K-겹 교차 검증 : k-겹 교차 검증과 동일하나, 반복시마다 데이터를 섞은 뒤에 다시 k 개로 나누고 학습 시키는것을 반복한다.
  • 평가 방식을 선택할 때 다음의 사항을 유의 해야 함.
    • 대표성 있는 데이터 : 훈련 세트와, 테스트 세트가 주어진 데이터에 대표성이 있어야 함. 한쪽으로 쏠려 있는 데이터라면 당연히 잘못 훈련이 될 것이고 테스트도 잘못 될 것이다. 일반적으로는 데이터를 무작위로 섞어 쓰는것이 일반적.
    • 시간의 방향 : 과거로부터 미래를 예측한다면, 당연히 데이터를 섞으면 안된다.
    • 데이터 중복 : 같은 데이터가 여러개가 있는 경우, 데이터를 섞어서 훈련 세트와 테스트 세트로 만들게 되면, 훈련 세트에 있는 데이터와 테스트 세트에 있는 데이터가 동일하게 될 수 있다. 그러면 결국 테스트한 데이터가 학습 데이터에 들어 있다는 말이 된다. 그러므로 이걸 섞이지 않도록 해 주는게 중요하다.

데이터 전처리, 특성 공학, 특성 학습

  • 피처 엔지니어링 관련 내용 : 관련 내용은 다른 책을 참고하자. ㅎ
  • 벡터화 : 모든 데이터를 숫자형태(int나 float)로 바꿔야 한다.
  • 값 정규화 : 스케일이 다른 값들을 일정한 범위로 바꿔 줘야 한다. 스케일이 너무 차이나면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. 일반적으로 평균을 0, 표준편차를 1로 만들어주는 작업. 대부분 0 ~ 1 사이의 값을 취하도록 한다.
  • 누락된 값 : 데이터가 누락된 경우에는 0이나 평균값, 중간값등으로 처리해도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. ( 그 값 자체가 의미가 있지 않다면 말이다. ) 네트워크가 알아서 적당히 처리 할 것이다. (하지만... 확인해 보기 전에는 알 수 없지 않을까??)
  • 특성 공학(피처 엔지니어링) : 데이터를 사용하기 전에 먼저 잘 학습되도록 적당히 바꿔 주는것.
    • 이미지로 시간을 맞추는것을 한다면, 이미지를 바로 사용한다면 CNN같은걸 써야 겠지만, 단순한 이미지 처리로 바늘두개의 각도를 구할 수 있다면 더 쉽게 학습 시킬 수 있을 것이다.
    • 특성을 더 간단한 방식으로 표현하여 문제를 쉽게 만든다. 이럴려면 해당 문제를 아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.
    • 딥러닝 이전에는 매우 중요 했음.
    • 다행히 최근 딥러닝은 대부분 특성 공학이 필요하지 않습니다. 신경망이 자동으로 원본 데이터에 유용한 특성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하지만...
      • 좋은 특성은 적은 자원을 사용하여 문제를 더 잘 풀 수 있음. 시계 바늘을 읽는 문제는 굳이 합성곱 신경망(CNN)을 사용할 필요가 없음.
      • 좋은 특성은 더 적은 데이터로 문제를 풀 수 있음. 딥러닝 모델은 특성을 학습할때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함. 샘플의 갯수가 적다면 특성을 잘 뽑아내 주는게 중요함.

과대적합과 과소적합

  • 과소적합 : 아직 학습할 껀덕지가 있는 상태
  • 과대적합 : 학습 데이터에만 너무 집중되고 있는 상태 ( 자세한건 따로 보셈 ㅋ ). 그러므로 이걸 피해야 한다. 이렇게 피하는걸 규제(regularization)라고 한다.
    • 네트워크 크기 축소
      • 네트워크의 크기가 크면, 외울 수 있는 capacity가 크고, 그러므로 학습한 데이터를 모두 외워 버릴 수 있을 정도가 될 수 있다.
      • 그러므로 일반화 시킬려면 오히려 네트워크를 줄여야 한다.
      • 우리가 필요한것은 학습 데이터를 잘 맞추는게 아니라, 다른것도 잘 맞출 수 있도록 일반화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.
      • 하지만, 그렇다고 네트워크 크기를 팍 줄이면, 기억할 공간이 줄어 들기 때문에 학습이 잘 안될 거다... 그러니 절충점을 잘 찾아야 한다... (그게 쉽나.. T_T)
      • 책에 나오는 실제 검증한 그래프를 보면, 네트워크가 크면 더 빨리 과대적합이 나타나게 된다.
    • 가중치 규제(Weight regularization)
      • 오캄의 면도날 : 어떤 것에 대한 두가지 설명이 있다면 더 적은 가정이 필요한 설명이 더 옳을 것이다.
      • 네트워크의 복잡도에 제한을 두어 가중치가 작은 값을 가지도록 강제하는것. 이러면 가중치의 값의 분포가 더 균일하게 된다.
      • L1 규제 : 가중치의 절댓값에 비례하는 비용이 추가 됨(가중치의 L1노름-norm). 이 경우에는 일부 가중치 값이 0이 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음.
      • L2 규제 : 가중치의 제곱에 비례하는 비용이 추가 됨(가중차의 L2노름) - 가중치의 파라미터를 모두 제곱하여 더한 후 이 값의 제곱근을 추가, 훈련할 때만 해당 값을 추가. 그러므로 테스트의 loss 값보다, 훈련할때의 loss 값이 더 커질 것임.
      • L2 규제를 적용하면 좀 더 과대 적합에 잘 견딤
      • L1 규제와 L2 규제를 같이 쓰는것을 엘라스틱넷(ElasticNet)이라고 부름. L1, L2 모두 기본값은 0.01로 되어 있음. 책에서는 0.001을 사용하고 있음.
    • 드롭아웃
      • 학습시 신경망의 일부를 끄는(출력을 0으로 만듬)것. (자세한것은 생략)

보편적인 머신 러닝 작업 흐름

  • 성공 지표 선택 : "성공이 무엇인가?"를 정의하는게 중요함. 정확도? 정밀도? 재현율? 고객 재방문률? 비즈니스 성공처럼 고수준의 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함.
    • 클래스 분포가 균일한 분류 문제에서는 정확도가 ROC AUC가 일반적인 지표
    • 클래스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문제에서는 정밀도와 재현율을 사용할 수 있음.
    • 랭킹 문제나 다중 레이블 문제에는 평균 정밀도를 사용할 수 있음.
  • 모델에 맞는 마지막 층의 활성화 함수와 손실 함수 선택
    • 문제 유형, 마지막 층의 활성화 함수, 손실 함수
    • 이진 분류, 시그모이드, binary_crossentropy
    • 단일 레이블 다중 분류, 소프트맥스, categorial_crossentropy
    • 다중 레이블 다중 분류, 시그모이드, binary_crossentropy
    • 임의 값에 대한 회귀, 없음, mse
    • 0과 1 사이 값에 대한 회귀, 시그모이드, mse 또는 binary_crossentropy

요약

  • 생략

2부 실전 딥러닝

  • 생략

5장 컴퓨터 비전을 위한 딥러닝

  • 생략

합성곱 신경망 소개

  • 생략

소규모 데이터셋에서 밑바닥부터 컨브넷 훈련하기

  • 데이터가 풍부할때만 작동한다는 말을 들음. 하지만 딥러닝은 특성을 찾는것이다. 그러므로 특성을 쉽게 찾을 수 있다면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.
  • 특성 앱의 깊이는 네트워크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지만(32에서 128까지), 특성맵의 크기는 감소합니다. ( 150x150 에서 7x7까지 - padding이 0인 경우로 계산하면 150, 148 -> 74, 72 -> 36, 34 -> 17, 15 -> 7 이 된다.). 이는 거의 모든 컨브넷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패턴입니다.
  • 케라스에는 이미지를 쉽게 처리하기 위한 유틸리티가 존재한다.
    • keras.preprocessing.image
    • keras.preprocessing.image.ImageDataGenerator
    • Generator를 만들때 batch_size를 적어 두면, 전체중 그 갯수 만큼이 반환된다.
    • 나중에 fit_generator 할 때는 step_per_epoch * batch_size 가 전체가 되도록 만들어 주어야 한다.
    • 리스트와 달리 반복자와 제너레이터는 전체 항목을 미리 만들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에 효율적입니다.
  • 데이터 증식(data augmentation - 데이터 오그멘테이션)
    • 데이터의 숫자가 너무 작으면 데이터 갯수를 늘려주는것이 좋다.
    • ImageDataGenerator에서 아래 옵션을 주면, 속성에 맞게 이미지를 더 생성한다.
      • rotation_range : 랜덤하게 사진을 회전(0~180)
      • width_shift_range : 이미지를 평행 이동 (1 이하면 비율, 이상이면 pixel)
      • height_shift_range : 이미지를 수직 이동 (1 이하면 비율, 이상이면 pixel)
      • sher_range : 이미지를 비뚤게 회전 시킬 각도 범위
      • zoom_range : 확대할 범위
      • horizontal_flip : 이미지를 수평 대칭 변환 ( 얼굴, 풍경 등, 글자가 있는것은 수평 대칭 변환하면 안됨 )
      • fill_mode : 회전, 가로/세로 이동시 새롭고 생긴 픽셀을 채울 전략
    • 검증 데이터셋은 데이터 증식(data augmentation)을 하면 안됨. 오직 학습 데이터 셋에서만 할 것.

사전 훈련된 컨브넷 사용하기

  • 데이터 셋이 너무 작으면 어차피 잘 안되니깐, 이미 많은 양의 데이터로 만들어진 잘 학습된 모델을 활용해서 해보자는 방법.
  • 많은 양의 데이터로 잘 학습된 모델은, 내가 필요로하는 특성을 정확하게 잘 찍어 낼 순 없겠지만, 일반적인 특성은 잘 찍어 낼 수 있을 것이므로 이걸 활용하는것이 더 좋을 것임.
  • 실제 필요한것과는 다를지라도, 이론적으로는 효율적임.
  • 책에서는 VGG넷을 사용함. VGG16은 최신것도 아니고, 제일 좋은것도 아니지만, 이 모델 구조가 이전에 보았던것과 비슷해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지 않고 이해를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.
  • 일반적으로는 합성곱(Convolution)부분만 재사용함.
    • 합성곱 층은 "학습된 표현이 더 일반적이어서 사용 가능" : 아마도, 합성곱층은 이미지 필터를 거치면서 나오는 특징을 그대로 쓰고, 같은 이미지 필터를 여러곳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보임.
    • 하위층은 엣지, 색깔, 질감등의 특성을 뽑고,
    • 상위측은 눈이나 귀처럼 추상적인 개념을 추출
    • 만약, 새로운 데이터셋이 학습된 모델의 데이터셋과 많이 다르다면, 하위층만을 사용하는것도 하나의 방법.
    • 재사용시 trainable값을 False로 줘서, 사전 학습된 표현이 업데이트 되지 않도록 하는것이 중요함.
  • 미세 조정(파인튜닝 - fine tuning)
    • 이전에는 학습된 모델의 top만 제거하고, 새로운 layer를 붙여서, 새 layer만 학습하는 방식으로 재활용 했다.
    • 하지만, 동결 시켜 두었던 부분도 일부를 학습 시키는 방법을 쓸 수도 있다.
      • 사전에 훈련된 기반 네트워크 위에 새로운 네트워크 추가
      • 기반 네트워크 동결 후, 새로 추가한 네트워크 훈련
      • 기반 네트워크에서 일부 층을 동결 해제 한 후, 새로 추가한 네트워크와 같이 학습
    • 합성곱의 하위층은 일반적이고, 재사용가능한 특성을 학습하므로 그대로 사용하고, 상위층은 특화된 특성을 인코딩하므로, 이 부분만 다시 학습 시킨다.
  • 손실 곡선이 향상되지 않았으나, 정확도가 높이진 이유?
    • 손실 값 그래프는, 각 손실의 평균이다. 그러므로 전체의 정확도와는 별개이다. 손실 값이 큰것들은 아예 많이 커져 버리고, 나머지는 손실값을 줄이고 잘 맞추게 업데이트 된다면, 손실 값의 평균은 유지 되면서, 정확도는 높아 질 수 있다.

컨브넷 학습 시각화

  • 생략
  • CAM 을 사용하면, 이미지의 어느 위치가 분류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 수 있다.
  • 생략

요약

  • 생략

6장 텍스트와 시퀀스를 위한 딥러닝

  • 텍스트(단어의 시퀀스), 시계열 또는 이반적인 시퀀스를 처리 할 수 있는 모델을 살펴 볼 것임
  • 시퀀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본적인 모델
    • 순환신경망(recurrent neural network, RNN)
    • 1D 컨브넷(1D convnet)
  • 시퀀스 데이터 형태로 처리하는 것들
    • 문서 분류나 시계열 분류, 글의 주자네 책의 저자 식별
    • 시계열 비교, 두 문서의 관련성, 주식 가격의 관련성
    • 시퀀스-투-시퀀스 학습, 영어 문장을 프랑스어로 번약하기
    • 감성 분석. 트윗이나 영와 리뷰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분류하기
    • 시계열 예측. 최근 어떤 지역의 날씨가 주어졌을때, 날씨 예측하기
  • 책에서는 IMDB의 감정분석과, 기온 예측만 집중하여 볼 것임.

텍스트 데이터 다루기

  • 문서 분류, 감성 분석, 저자 식별, (제한된 범위의) 질문 응답 등에 적합

  • 이런 딥 러닝 모델이 사람처럼 진짜 텍스트를 이해하는것은 아님

  • 문자 언어(written language)에 대한 통계적 구조를 만들어 간단한 텍스트 문제를 해결 하는 것임.

  • 컴퓨터 비전이 픽셀에 적용한 패턴인식인 것처럼, 자연어 처리를 위한 딥러닝은 단어, 문장, 문단에 적용한 패턴 인식

  • 텍스트 역시, 그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숫자 형태로 바꿔 줘야 함.

  • 텍스트를 숫자 형태로 바꾸는것을 텍스트 벡터화(vectorizing)이라고 함

    • 텍스트를 단어로 나누고, 각 단어를 하나의 벡터로
    • 텍스트를 문자로 나누고, 각 문자를 하나의 벡터로
    • 텍스트에서 단어나 문자 n개를 뽑은 뒤에, 그 조합을 벡터로
    • 텍스트를 일정 기준으로 나눈것을 토큰이라고 함. 이런 토큰을 잘 처리해서 벡터를 만들 수 있음.
  • 원핫인코딩

    • 텍스트도, 단어별로 쪼갠 뒤, 각 단어를 원핫인코딩으로 바꿀 수 있다.
    • 원핫인코딩으로 바꿀때, 텍스트가 아닌 경우를 대비하여 1개를 비워 두는 센스를 발휘하자.
    • keras.preprocessing.text.Tokenizer(num_words=1000)을 사용하면, 가장 빈도가 높은 1000개 단어만 사용하도록 할 수 있음.
    • 원핫해싱이라고, 인덱스를 따로 설정하지 않고, key를 value의 hash 값을 사용하도록 한다. 바로바로 데이터를 찍을 순 있겠지만, hash 된 값이 겹쳐 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
  • 단어 임베딩(워드 임베딩, word embedding)

    • 책에서는 밀집 단어 벡터(word vector)이라고 적혀 있는데, 전체를 영어로 적으면 dense word vector이다. dense를 보통 밀집이라고 해석하는데, 의미 없이 공간을 차지하는 정보가 없는 정도로 해석하면 좋겠다. 원핫인코딩의 경우 많은 값들이 0 이고, 딱 1개만 1이기 때문에 0은 의미가 없다(이런 애들을 희소(sparse)하다고 한다). 그러므로, 14번째 위치에 1이 있다고 표현하는 ( 14, 1 ) 이라고 표현하면 dense하게 표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.
    • keras.layers.Embedding(1000,64)는, 1000개의 단어를 64차원으로 표현하겠다는 것이다.
    • Embedding을 만들고, dense를 만들어 붙인 후에 데이터를 fit으로 때려 박으면, 알아서 잘 분리한 vector가 만들어 진다.
    • 임베딩 알고리즘에는 Word2Vec나 GloVe 같은게 있다.
    • 당근, 데이터셋이 작다면, 사전 학습된 모델을 읽어와서 재활용하고, 필요한 부분만 덧붙여 쓰는게 좋다.
    • 순환 신경망 이해하기

  • RNN, LSTM 설명, 생략.

순환 신경망의 고급 사용법

  • 순환 드롭아웃 : 순환층에서 과대적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. 케라스에 내장되어 있음. ( GRU나 LSTM에 dropout 값을 줄 수 있음 )
  • 스태킹 순환 층 : 순환층의 마지막 노드의 결과만 내 뱉는게 아니라, 모든 노드의 결과를 연결해 주는 형태 ( return_sequences 값을 이용해서 처리 할 수 있음 )
  • 양방향 순환 층 : 데이터를 a, b, c, d 순으로 입력하던것을 d, c, b, a 순으로도 입력하는 branch 층을 만든다.

컨브넷을 사용한 시퀀스 처리

  • 벡터를 RNN으로 계속 순환 시킬것이 아니라, CNN 1D로 계산하는 방식
  • CNN으로 계산하면 훨씬 속도가 빨라진다.
  • 1D CNN으로 특징을 먼저 뽑아내고, RNN을 돌릴 수도 있다.

7장 딥러닝을 위한 고급 도구

Sequential 모델을 넘어서: 케라스의 함수형 API

  • 기존에는 순차적으로 연결한 모델만 만들 수 있었다.

  • 하지만, 함수형 API를 사용하면, branch를 만들거나, merge 할 수 있다.

  • 일반적인 Sequence Model을 함수형 API로 표현

    input_tensor = Input( shape=(64,) )
    x = layers.Dense(32, activation='relu')(input_tensor)
    x = layers.Dense(64, activation='relu')(x)
    output_tensor = layers.Dense(10, activation='softmax')(x)
    
    model = Model(input_tensor, output_tensor)
  • 2개 이상의 vector을 받아서, 1개의 출력으로 내는 경우

    text_input = Input( shape=(...) )
    embedded_text = layers.Embedding(....)(text_input)
    encoded_text = layers.LSTM(...)(embedded_text)
    
    ques_input = Input( shape=(...) )
    embedded_quest = layers.Embedding(....)(ques_input)
    encoded_ques = layers.LSTM(...)(embedded_ques)
    
    concatenated = layers.concatenate([encoded_text, encoded_ques], axis=-1) 
    
    answer = layers.Dense(64, activation='softmax')(concatenated)
    
    model = Model ( [text_input, ques_input] , answer )
    
    model.compile( optimizer='rmsprop', loss='categorical_crossentropy' ) # 1개의 output이므로 optimizer나 loss 는 1개 만 설정하면 된다. 
    
    model.fit ( [text, ques], answer, ... ) # 2개의 Input과 1개의 Output이다.
  • 2개 이상의 출력을 내는 경우

    # 나머지는 비슷하게 하고, 제일 마지막 출력층에 대한 것만...
    age_predict = layers.Dense(1)(x)
    
    income_predict = layers.Dense(100, activation='sfotmax'(x)
    
    gender_predict = layers.Dense(1, activation='sigmoid')(x)
    
    model = Model ( input, [age_predict, income_redict, gender_predict]) # 1개의 Input과 3개의 Output에 대해서 처리해야 한다.
    model.compile( optimizer='rmsprop', loss = ['mse'm 'categorical_crossentropy', 'binary_crossentropy'] ) # 3개의 Output에 대한 각각의 정보가 필요하다.
    # 필요할 경우 compile 옵션으로 loss_weight=[1.0, 0.25, 10.] 등, loss 값에 가중치를 줄 수도 있다.
    
    model.fit ( posts, [age_targets, income_targets, gender_targets], ... ) # 입력이 1개, 출력이 3개다.
  • 인센셥 모델의 경우 branch를 따고, 합치는 과정이므로, 이 글에서는 따로 설명하지 않고 pass.

  • 잔차연결(residual connection)

    x = layers.Conv2D(...)(x)
    y = layers.Conv2D(...)(x)
    y = lqyers.Conv2D(...)(y)
    
    y = layers.add( [ y, x ] ) # 마지막 y의 특성에 x의 출력 특성을 더한다.
  • 기존의 모델을 layer 처럼 사용 가능

    xception_base = application.Xception(weight=None, include_top=False)
    input = Input(shape=(250, 250, 3))
    features = xeception(input)    

케라스 콜백과 텐서보드를 사용한 딥러닝 모델 검사와 모니터링

  • 콜백 : 콜백을 직접 만들 수도 있지만, 이 글에서는 중요한거만...

    • ModelCheckpoint : epochs 마다 모델을 저장한다.

    • EarlyStopping : validation loss가 일정 횟수 이상, 줄어 들지 않으면 자동으로 멈춘다.

    • ReduceLROnPlateau : validation loss가 향상되지 않으면, 학습률을 작게 할 수 있음.

    • 예제

      callbacks_list = [
      // val_acc 값이 patience 만큼 횟수의 epoch를 돌았는데도, 정확도가 늘지 않으면 멈춘다.
      keras.callbacks.EarlyStopping( monitor='val_acc', patience=1),
      
      // epoch 마다 my_model.h5에 저장한다. 단, val_loss 값이 줄어들지 않으면, 모델을 덮어쓰지 않는다.
      keras.callbacks.ModelCheckpoint(filepath='my_model.h5' , monitor='val_loss', save_best_only=True),
      
      // val_loss 값을 확인해서 10번동안 줄어들지 않으면, 학습률을 1/10 으로 줄인다.
      keras.callbacks.ReduceLROnPlateau( momitor='val_loss',factor=0.1, patience=10 );
      ]
      
      // callback에서 val_loss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, metrics에 acc 값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.
      model.compile( optimizer='rmsprop', loss='binary_crossentropy', metrics=['acc'] )
      
      // epoch 마다, callbacks_list에 있는 callback들을 호출한다. 이 callback에서 val_acc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, 꼭 validation_data 값이 필요하다.
      model.fit( x, y, epochs=10, batch_size=32, callbacks = callbacks_list, validation_data=(x_val, y_val))
  • 텐서보드 : 텐서플로우일때만 사용할 수 있자만 참 유용함

    • TensorBoard : 훈련하는 동안의 지표, 모델 구조 확인, 활성화 출력, 3D 임베딩 등을 쉽게 볼 수 있음

    • 예제

      callbacks = [
        // 학습 로그는 my_log_dir에 남기며, 1 epoch마다, 활성화 출력과 임베딩 데이터를 기록.
        keras.callbacks.TensorBoard( log_dir='my_log_dir', histogram_freq=1, embeddings_freq=1 )
      ]
    • python 코드를 실행 시킨 후 shell에서 tensorboard --logdir=my_log_dir 실행후, http://localhost:6006 에 접속하면 볼 수 있음.

  • 모델 시각화

    • TensorBoard를 사용하면 모델 시각화를 할 수 있지만, tensorflow의 모델 형태로 나오기 때문에 보기가 어렵다.

    • 케라스 모델을 쉽게 볼 수 있게 이미지로 만들 수 있는 방법도 있다.

      from keras.utils import plot_model
      // 케라스 모델인 model을 보기 쉽게 model.png 파일에 이미지로 떨어뜨려 준다.  
      // show_shapes = True, layer의 input과 output의 shape을 같이 보여준다.  
      // show_layers_name = True, layer 이름을 같이 보여 준다.  
      // rankdir = TB | LR, TB면 수직으로, LR 수평으로 그려준다.  
      plot_model ( model, to_file='model.png', show_shapes=True )

모델의 성능을 최대로 끌어올리기

  • 배치 정규화

    • 배치 정규화를 사용하면 더 깊은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.

    • BatchNormalization은 일반적으로, 합성곱이나 환전 연결층 다음에 사용함

      conv_model.add( layers.Conv2D(32, 3, activation='relu') )
      conv_model.add( layers.BatchNormalization() )
      
      dense_model.add( layers.Dense(32, activation='relu') )  
      dense_model.add ( layers.BatchNormalization() )  
    • 배치 정규화클래스는 특성 축을 지정할 수 있는 axis 매개 변수가 있음. ( 기본값 -1, 입력텐서의 마지막 축 )

    • data_format을 "channels_last"로 하여, Dense, Conv1D, ENN, Conv2D 층을 사용할 때 맞는 값.

    • data_format이 "channels_first"라면, 특성축이 1이므로, axis=1 로 주어야 함. ( 0번째 축은 "배치"차원 축 )

  • 깊이별 분리 합성곱 ( depthwise separable convolution )

    • Conv2D 보다 가볍고, 빠르다. 성능도 좋다.
    • 적은 데이터로도 좋은 표현을 학습하고, 결국 성능이 더 좋은 모델을 만듬. 제한된 데이터로 작은 모델을 만들때 중요.
    • 예제는 Conv2D를 사용하는곳에 모두 layers.SeparableConv2D를 사용하는 형태로만 바꾸면 됨.
  • 하이퍼 파라미터 최적화

    • 규칙은 없다. 자동으로 하이퍼 파라미터를 찾아주는건 연구되고 있는 과정
    • 관련 라이브러리 : Hyperopt, Hyperas(Hyperopt와 연동하여 keras에서 사용가능), Auto-Keras, auto-sklearn
  • 모델 앙상블(model ensemble)

    • 하나의 목적을 가진 여러가지 모델을 만들고, 각 모델별 예측치를 평균하여 찾는 방법
    • 한가지 모델은 편향되어 있을 수 있지만, 여러가지 편향을 가진 각 모델을 평균내면 오히려 더 잘 동작할 수도 있다.

8장 생성 모델을 위한 딥러닝

LSTM으로 텍스트 생성하기

  • 생략

딥드림

  • 내가 별로 관심이 없어서 생략. ㅎ. 책도 대충 읽고 넘김. ㅎ.

뉴럴 스타일 트랜스퍼

  • 생략

변이형 오토인코더를 사용한 이미지 생성

  • 생략

적대적 생성 신경망 소개

  • GAN(Generative Adversarial Netowkrs)
  • 모델은 크게 두가지로 나뉨. 한쪽에서는 이미지를 생성, 한쪽에서는 생성된 이미지가 진짜/가짜인지 판단
  • 양쪽을 모두 학습 시킨 뒤, 생성 부분만 모델만있으면,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음.
  • 대충은 아니깐, 자세한건 생략.

이하 항목 생략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