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SKT 에서는 TLogin으로 무선 인터넷을 쓸 수 있다.
그래 SKT 가 만들어 냈을때 KTF 도 만들어야 했을것이다.
( 이미 준비는 하고 있었겠고, 아마도 시기 결정을 기다리고 있지 않았을까? )
하여튼. KTF 껄 한번 봐보자.
아래는 인터넷 검색중에서 찾은 자료중 일부다.
http://cafe.naver.com/hiktf.cafe?iframe_url=/ArticleRead.nhn%3Farticleid=4807
|
IPLUG 서비스란 |
■ IPUG 브랜드 소개
WCDMA 초고속 무선인터넷 서비스 브랜드인 ‘iPlug(아이플러그)’
■ 서비스 개요
특정 모뎀을 노트북이나 개인PC 등에 연결하여 HSDPA 네트워크에 접속한 뒤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는
■ 서비스 출시 :
■ 서비스 특징
- 무선/이동성
- 커버리지
기준 |
서비스 가능지역 |
2006년 6월 |
50개 시 |
2006년 9월 |
84개 시 도심지역 |
2006년 12월 |
84개 시 전 지역 |
2007년 3월 |
전국 망(면적대비 98%, 인구대비 99%) |
■
ㅇ w모뎀요금
요금상품명 |
기본료 |
통화료 |
비고 |
W모뎀요금 |
7,500원 |
ㅇ인터넷직접접속 : 1.3원/0.5KB |
ㅇ데이터서비스 모뎀 전용단말기만 가입 가능 |
ㅇ인터넷직접접속용 부가할인 상품
요금상품명 |
월정액 |
무료제공 |
기본초과시 할인율 |
비고 |
W넷데이터베이직 |
22,000원 |
1GB |
94% |
ㅇ인터넷 직접접속 서비스에만 무료제공 및 할인율 적용됨 ㅇ~' |
W넷데이터스페셜 |
37,000원 |
2GB |
96% |
★ 반드시 W모뎀요금과 인터넷직접접속용 부가서비스 같이 등록해야함
으.. 중요한건 기본요금은 그렇다고 치고...
물론 가격을 정해놓고 사용하는 월정액도 그렇다고 치고...
그냥 일반 상품의 통화료가 엄청나다는것이다.
0.5Kbyte 에 1.3 원 -_-
그러면 1kbyte 에 2.6원. ㅡ_ㅡ
이렇게 이야기 하면 얼마인지 잘 감이 안 잡힐 수도 있다.
그럼 계산을 해 보자.
금방 네이버의 기본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HTML 을 받아 오게 될 것이다.
그 첫페이지의 크기는? 74kbyte 이다.
메인배너의 플래쉬 크기는? 129kbyte
우측에나오는 플래쉬 크기는? 59kbyte
중앙으로 나오는 13개의 조그만한 이미지? 약 3.5kbyte * 13
그 이외의 잡다한 이미지를 약 10kbyte 라고 보자.
그럼 네이버 첫 페이지에 접근할 때 받아야 하는 크기는 ? 317.5kbyte
이걸 돈으로 계산해 보면.
317.5*2.6 = 825.5 원
우와 -_-겨우 네이버 첫 페이지 띄우는데 -_- 800원이 든다. -_-
이렇게 치면 네이버 28번만 띄우면 -_-
기본 정액 베이직요금으로 -_- 하는것 보다 비싸다 -_-
이미지 갤러리에 들어 가서 -_- 한 페이지 볼때마다,
적어도 1000원씩 허공에 날리게 되는것이다. -_-
이걸로 계산해 보면 절대적으로 정액 베이직 요금을 써야 한다는 결론이다.
반응형
'잡다한 글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는 얻어 내기 위해서는... (4) | 2007.01.22 |
---|---|
대학로 산책.... (2) | 2007.01.20 |
대조영함 "지도상에서 일본을 지워주마" (4) | 2007.01.19 |
집 없는자의 환호와 하소연... (2) | 2007.01.19 |
Apple computer에서 Apple 로 변경. (0) | 2007.01.16 |